Rip 라우팅 프로토콜은 목적지로 가는 경로 중 hop count(라우터 수)가 가장 작은 경로를 선택하는 라우팅 프로토콜 입니다.
설정 방법
(config)# router rip
(config-router)# network [라우터에 연결된 네트워크 ip]
Rip 라우팅 프로토콜을 적용하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아래와 같은 아키텍처에서 각각의 라우터에 위 명령어만 작성해주면 됩니다.
이러한 아키텍처가 있다고 가정하고, RIP를 설정해보겠습니다.
- Router1 (왼쪽)
router rip
network 200.200.200.0
network 201.201.201.0
- Router2 (오른쪽)
router rip
network 201.201.201.0
network 202.202.202.0
라우터 리소스 낭비 발생
30초마다 라우팅 정보를 브로드캐스트(255.255.255.255 사용)하기 때문에 리소스 낭비가 발생합니다. 이는 debug 명령어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debug ip rip
위 명령어로 rip 동작을 디버그하면 다음과 같이 rip 동작이 모니터링 됩니다.
표시한 부분을 보면, 브로드캐스트로 인해 giga0/0/0쪽으로도 라우팅 정보를 보내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스위치나 컴퓨터는 라우팅을 하지 않기 때문에 해당 패킷을 그냥 전달하고 버리게 됩니다. 여기서 리소스 낭비가 발생하게 됩니다.
리소스 낭비 해결법
(config)# router rip
(config-router)# passive-interface [라우팅 정보를 보내지 않을 인터페이스]
위 config를 하면, 브로드캐스트를 할 때 passive-interface로 설정한 인터페이스로는 라우팅 정보를 보내지 않습니다.
실습 예제의 Router1에 g0/0/0을 설정해보겠습니다.
- Router1
passive-interface g0/0/0
설정 후 debug를 해보면, 위처럼 g0/0/0으로는 라우팅 정보 전달이 안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RIPv1과 RIPv2 차이점
- Classful, Classless
- RIPv1은 Classful Routing Protocol로, 서브넷 마스크 정보는 전송을 하지 않습니다. 반면에 RIPv2는 Classless Routing Protocol로, 서브넷 마스크 정보도 같이 전송합니다.
-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 RIPv1은 브로드캐스트로 255.255.255.255 주소를 통해 라우팅 정보를 전달하지만, RIPv2는 멀티캐스트로 224.0.0.9 주소를 사용하여 전달합니다. 또한 RIPv2는 네트워크 경로에 대한 인증을 할 수 있습니다.
RIPv2 설정법
(config)# router rip
(config-router)# version 2
default가 v1이기 때문에 version 2를 지정해주면 됩니다.
설정 후 debug해보면 224.0.0.9를 사용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L2] VLAN/Trunk/Native VLAN 이론과 실습 (1) | 2024.04.05 |
---|---|
[Network/VPN] VPN, GRE tunneling, GRE over IPSec (0) | 2024.04.02 |
[Network/Routing Protocol] OSPF (0) | 2024.04.02 |
[Network/Routing Protocol] EIGRP (0) | 2024.04.02 |
[Network] L2 Network CSMA/CD & Switch (1) | 2024.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