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IGRP
EIGRP 는 Advanced Distance Vector Routing Protocol로, Distance Vector의 장점과 Link State의 장점을 모두 가진 라우팅 프로토콜입니다. CISCO 전용 라우터에서 동작하며, 224.0.0.10의 멀티캐스트 주소를 사용합니다. 또한 Classless이기 때문에 서브넷 정보를 전달하며, VLSM을 지원합니다.
경로에 변화가 있을 때만 업데이트 하기 때문에, Hello packet을 주기적으로 주고받으며 경로의 변화를 감지합니다. (이더넷 기준 Hello 주기: 5s, 유지 기간: 15s)
특징
- Advanced Distance Vector Routing Protocol
- 멀티캐스트 (224.0.0.10)
- Classless
- Partial update (경로 변화 시 업데이트)
- MD5 인증
- DUAL 알고리즘으로 최적의 경로 선출
- CISCO 라우터에서만 동작
패킷의 종류
- Hello packet: Hold time(hello interval * 3)안에 hello packet을 받지 못하면 Neighbor 관계 해제
- Update packet: 라우팅 정보를 전송할 때 사용하는 패킷(유니캐스트, 멀티캐스트)
- Query packet: 라우팅 정보 요청 패킷으로 라우팅 테이블의 경로가 다운되거나 대체 경로가 없을 시 인접 라우터에 경로 정보를 요청하는 패킷
- Reply packet: Query packet에 대한 응답으로 요청받은 라우팅 정보를 전달하는 패킷
- Acknowledge packet: 수신 확인 패킷, ack와 hello에는 사용하지 않음
라우팅 경로 계산 절차
- Hello packet을 인접 라우터가 교환한 후 Neighbor 관계를 맺음
- 인접한 라우터와 Hello packet을 주고 받음
- 같은 라우팅 프로토콜이라면 Neighbor 성립
- Neighbor table 생성
- Update packet을 통해 Routing 정보를 교환하고 Topology table을 생성
- Neighbor와 Topology table 교환
- Topology table 정보를 종합해서 라우팅 경로를 계산
- DUAL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최적의 경로 선출
Metirc
- K 상수 값
- K1 = 대역폭, K2 = 로드, K3 = 지연, K4 = 신뢰성, K5 = MTU
- K1 = K3 = 1
- K2 = K4 = K5 = 0
- EIGRP Metric 계산
- 대역폭: 송신지와 수신지 사이의 가장 작은 대역폭
- 지연: 경로에 따라 누적되는 인터페이스의 지연
- Metric = 대역폭 + 지연
인접성 조건으로 AS 번호가 반드시 동일해야 하며, 모든 K 상수의 값이 동일해야 합니다.
Key word
- FD(Feasible Distance): 출발지 라우터에서 목적지 네트워크까지 계산한 EIGRP Metric 값
- AD(Advertised Distance): 출발지 Next-hop 라우터에서 목적지 네트워크까지 계산한 EIGRP Metric 값
- Successor: 최적 경로, FD값이 가장 낮은 Next-hop
- Feasible Successor: 후속 경로, 최적 경로 Successor가 동작하지 못할 때 Query나 계산 없이 바로 Routing table에 등록되는 경로
EIGRP 목적지 네트워크까지 FD 값이 가장 낮은 경로가 Successor로 선출되고, 남아 있는 경로 중 AD 값이 FD 값보다 작은 경우, Feasible Successor로 선출합니다. Feasible Successor를 미리 구하기 때문에, 최적 경로에 문제가 생겼을 때 DUAL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다시 경로를 계산하지 않고도 빠른 대응을 할 수 있습니다.
EIGRP 설정 방법
router(config)# router eigrp [as번호]
router(config-network)# network 네트워크 주소
AS번호는 ISP가 부여하지만, 구현 환경에서는 직접 지정해주면 됩니다. (꼭 같게 설정해야 Neighbor이 됩니다.)

위 사진과 같은 아키텍처가 있다고 생각하고, EIGRP를 설정해보겠습니다.
- router1
router eigrp 7
network 200.200.200.0
network 201.201.201.0
- router2
router eigrp 7
network 201.201.201.0
network 202.202.202.0

설정 시 이렇게 neighbor를 맺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table 종류

EIGRP table은 여러가지 테이블을 가지고 있습니다.
- Neighbor table: 인접성을 맺은 라우터들의 정보

- Topology table: 목적지까지 도달할 수 있는 모든 경로의 정보
- Topology table을 DUAL 알고리즘으로 분석하여 최적의 경로를 선출

- Routing table: 최적의 경로가 등록되어 있는 테이블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 [Network/L2] VLAN/Trunk/Native VLAN 이론과 실습 (1) | 2024.04.05 |
|---|---|
| [Network/VPN] VPN, GRE tunneling, GRE over IPSec (0) | 2024.04.02 |
| [Network/Routing Protocol] OSPF (0) | 2024.04.02 |
| [Network/Routing Protocol] RIPv1, RIPv2 (0) | 2024.04.02 |
| [Network] L2 Network CSMA/CD & Switch (1) | 2024.04.02 |